본문 바로가기
건강

"수족구병 vs 구내염, 우리 아이는 어느 쪽일까요?"

by 위즈인포 2025. 6. 26.

수족구병? 아니면 구내염? 헷갈리는 증상, 제대로 구별하세요!

어린아이가 입안을 아파하며 밥을 거부하고, 손과 발에도 붉은 반점이 생겼다면?
부모로서 가장 먼저 떠오르는 건 ‘수족구병’일 거예요. 그런데 이게 꼭 수족구병은 아닐 수도 있다는 사실, 알고 계셨나요?

수족구병은 구내염, 수두, 알레르기성 발진 등 여러 질환과 증상이 비슷해 혼동하기 쉽습니다.
특히 비전염성 구내염과의 구분이 중요합니다. 각 질환의 차이점을 뚜렷하게 이해하고 있어야 빠르게 대처할 수 있어요.

수족구병 vs 구내염, 우리 아이는 어느 쪽일까요?

1. 수족구병과 헷갈리기 쉬운 대표 질환들

① 아프타성 구내염 (일반 구내염)

  • 입안 점막에 발생하는 흰색 또는 노란색의 궤양성 병변이 특징입니다.
  • 원인은 명확하지 않지만, 면역력 저하, 스트레스, 비타민 결핍 등이 유발 요인입니다.
  • 전염성은 없으며, 보통 3~5일 내 자연적으로 호전됩니다.
  • 손과 발에는 병변이 나타나지 않습니다.

② 헤르페스성 구내염 (Herpetic gingivostomatitis)

  • 주로 생후 6개월~5세 미만 아동에게 발생하는 단순 헤르페스 바이러스 1형(HSV-1) 감염입니다.
  • 입안 전체, 특히 잇몸, 입술 주변, 혀에 걸쳐 작고 통증성 수포가 퍼지며, 고열(39℃ 이상)이 흔하게 동반됩니다.
  • 입술 바깥까지 병변이 번지며, 수족구병보다 더 격렬하고 광범위한 통증을 유발합니다.
  • 침을 많이 흘리고, 아이가 몹시 보채며 식사를 전혀 못할 수 있습니다.

③ 수두 (Varicella)

  • 전신성 수포성 질환으로, 초기에는 열과 함께 얼굴과 머리에서 시작해 전신으로 수포가 퍼집니다.
  • 수포는 붉은 반점 → 물집 → 딱지 형으로 진행되며, 가려움이 심합니다.
  • 수족구병과 달리 손·발뿐만 아니라 두피, 몸통 등 온몸에 발진이 생기며, 병변의 크기와 분포가 더 다양합니다.

④ 알레르기성 발진 (두드러기 포함)

  • 특정 음식, 약물, 외부 자극 등에 의해 유발되는 면역 반응입니다.
  • 발진은 대개 가렵고, 대칭적이며, 팽진성(부풀어 오름)입니다.
  • 수포보다는 발갛게 부풀어오른 모양이며, 열이나 입안 병변은 거의 없습니다.
  • 전염성은 전혀 없고, 항히스타민제 투여로 빠르게 회복됩니다.

수족구병? 아니면 구내염? 헷갈리는 증상, 제대로 구별하세요!

2. 수족구병 vs 구내염: 헷갈리면 이렇게 구별하세요

① 병변 위치

  • 수족구병: 입안 + 손바닥 + 발바닥 + 엉덩이까지 수포 동반
  • 구내염: 입안 점막에만 국한, 손발 병변 없음

② 병변 모양과 수

  • 수족구병: 작은 물집이 터져 궤양화, 다수 발생
  • 구내염: 1~3개의 둥글고 선명한 궤양

③ 열 동반 여부

  • 수족구병: 대부분 38~39℃의 열 동반
  • 구내염: 미열이거나 아예 없음

④ 전염성

  • 수족구병: 고도의 전염력 (기침, 침, 대변 통해 전파)
  • 구내염: 전염성 없음

⑤ 회복기간

  • 수족구병: 7~10일
  • 구내염: 3~5일

📌 한눈에 보는 비교표


항목 수족구병 아프타성 구내염
원인 장바이러스 면역저하, 비타민 결핍 등
전염성 높음 없음
병변 위치 입안 + 손·발·엉덩이 입안에만
발열 흔함 (고열) 없음 또는 미열
치료 보존적 치료 (휴식, 수분 보충 등) 대증 요법 (진통겔, 비타민B 등)
 

3. 이런 증상 땐 병원 진료 꼭 받아야 해요

  • 입 안 통증이 심해 아무것도 먹지 못할 때
  • 3일 이상 고열이 지속될 때
  • 수포가 손발, 엉덩이 등으로 퍼질 때
  • 구강 병변이 잇몸, 입술, 혀 전체로 확산될 때
  • 탈수 증상이 의심될 때 (울음 시 눈물 없음, 소변량 감소 등)

소아 수족구병은 드물게 뇌염, 심근염 등 심각한 합병증으로 이어질 수 있어 반드시 주의해야 합니다.

마무리하며…

아이의 입안에 궤양이 생기면 “단순 구내염이겠지”라고 넘기기 쉬워요.
하지만 손·발·엉덩이에 발진이 동반되거나 고열이 계속된다면, 수족구병을 꼭 의심해야 해요.

증상은 겉보기엔 비슷하지만, 전염성, 동반 증상, 병변 분포 등 작은 차이를 잘 구별하는 것이
우리 아이 건강을 지키는 데 큰 역할을 한답니다.


📌 이 글은 건강정보 제공을 위한 콘텐츠입니다.
정확한 진단 및 치료는 반드시 의료 전문가와 상담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