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건강

허혈성 심장질환의 질병코드: 보험 청구 전 꼭 알아야 할 정보

by 위즈인포 2025. 4. 15.

🏷️ 허혈성 심장질환 질병코드 총정리: 보험 청구 전 꼭 알아야 할 정보

허혈성 심장질환은 협심증심근경색증으로 나뉘며, 국내 40~60대에서 특히 많이 발생하는 대표적인 심장 질환입니다.
증상이 심할 경우 생명을 위협할 수 있어 보험 가입 시에도 진단비 보장 여부가 중요한 항목으로 꼽히죠. 최근 보험사에서 진단서에 '질병분류기호(KCD)'를 명시해달라는 요청이 들어오는 경우가 많습니다.

오늘은 허혈성 심장질환의 KCD 코드(질병분류기호)와 함께, 보험금 청구 시 주의할 점까지 정리해드립니다.

 

허혈성 심장질환의 질병코드

📌 질병분류기호(KCD)란?

우리가 흔히 말하는 질병 코드가 바로 질병분류기호, 즉 KCD 코드(Korean Standard Classification of Diseases)입니다.

질병분류기호는 한국표준질병사인분류(KCD: Korean Standard Classification of Diseases)로,
국제질병분류(WHO의 ICD)를 바탕으로 만들어진 질병의 고유 코드입니다.

 

예를 들어 감기 = J00, 당뇨병 = E11, 고혈압 = I10처럼,


모든 질병은 알파벳과 숫자의 조합으로 분류되어 기록됩니다.
병원 진단서나 진료확인서에 이 코드가 표시되는 경우가 많으며,
보험금 청구 시 코드 누락으로 접수가 지연되거나 거절되는 사례도 있습니다.


 

❤️ 허혈성 심장질환의 질병분류기호(KCD) 정리

허혈성 심장질환(I20~I25)은 심장 근육에 혈액을 공급하는 관상동맥에 문제가 생겨 발생합니다.
주요 KCD 분류는 다음과 같습니다.

 

질환명 KCD 코드 설명
협심증 I20 관상동맥이 일시적으로 좁아져 가슴 통증 유발
심근경색증 I21 심장 근육 일부가 괴사된 상태 (응급질환)
기타 급성 허혈성 심장질환 I24 불안정형 협심증 등 기타 급성 증상 포함
만성 허혈성 심장질환 I25 과거 심근경색 후의 상태, 만성적인 혈류 장애

보험 진단비 특약의 보장 조건은 해당 코드에 따라 달라질 수 있습니다.
특히 I20(협심증)는 보장 대상에서 제외되는 경우가 있어 반드시 약관 확인이 필요합니다.


 ❤️ 허혈성 심장질환의 질병분류기호(KCD) I20~I25 상세 설명

 
KCD 코드 질환명 설명
I20 협심증 (Angina pectoris) 심장에 혈액을 공급하는 관상동맥이 일시적으로 좁아져 흉통 발생. 운동 시 심해지고 휴식 시 호전됨.
I21 급성 심근경색증 (Acute myocardial infarction) 심장근육이 혈액 부족으로 괴사된 상태. 응급치료가 필요함. 진단비 보장 핵심 대상.
I22 재발성 심근경색 (Subsequent myocardial infarction) 28일 이내 기존 심근경색 이후 재발한 심근경색. 보장 기준에 따라 주의 필요.
I23 심근경색 후 합병증 (Certain current complications following acute myocardial infarction) 심근경색 이후 발생하는 다양한 합병증 (심실파열, 심장파열 등)
I24 기타 급성 허혈성 심장질환 (Other acute ischemic heart diseases) 불안정형 협심증, 심정지 등 기타 급성 심장질환 포함. I20, I21로 구분되지 않는 경우
I25 만성 허혈성 심장질환 (Chronic ischemic heart disease) 장기간 혈류 부족으로 심장기능이 저하된 상태. 과거 심근경색, 협심증 등 이력 포함

📄 보험 진단비 청구 시 주의사항

  1. 진단서에 KCD 코드가 정확히 명시되어야 함
    • 보험사에 제출할 진단서에 I20, I21 등 코드 누락 시 보험금 지급 지연
  2. 심장 초음파, 심전도, 혈액검사 등 진단 근거자료 포함
    • 특히 협심증은 단순 증상만으로 보장되지 않음
    • 심근경색(I21)의 경우, 심장효소 수치(CK-MB, troponin 등)도 함께 첨부
  3. 진단명만 보고 판단하지 말고, 질병코드를 함께 확인할 것
    • 예: '심혈관질환'으로만 표기된 경우 보장 조건에서 제외될 수 있음
  4. 진단일 기준으로 보험 가입기간 및 면책기간도 반드시 확인

 📝 정리하며

허혈성 심장질환은 중대한 질환으로 정확한 진단과 빠른 치료가 중요합니다.
그러나 보험 보장을 제대로 받기 위해서는 KCD 질병분류기호의 정확한 기재가 핵심 포인트입니다.
특히 진단비를 청구할 때는 진단서에 명확한 코드가 기재되었는지,
보험 약관에서 해당 코드가 보장 대상인지를 꼼꼼히 확인해야 합니다.

예방도 중요하지만, 혹시 모를 상황에 대비한 정확한 정보 습득이 가장 좋은 대비책입니다.


📌 이 글은 건강정보 제공을 위한 콘텐츠입니다.
정확한 진단 및 치료는 반드시 의료 전문가와 상담하세요.